본문 바로가기

기업, 사회적 기업, 혁신 사례, 혁신 기업 전망

스핀아웃의 개념과 사내벤처 활성화

스핀아웃의 개념과 사내벤처 활성화

스핀아웃의 개념과 사내벤처 활성화
스핀아웃의 개념과 사내벤처 활성화

스핀아웃이란 무엇일까요? 그리고 스핀아웃은 기업가 정신에 어떤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것일까요? 이를 통한 사내벤처 활성화와 그 외의 방법에는 또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요? 이번 시간에는 이에 대한 해답들을 해결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스핀아웃 시너지

사내벤처를 통해 개발된 기업가정신은 스핀아웃 제도를 통하여 그것이 구체적으로 발현되는 과정을 가질 수 있는데요. 스핀아웃이란 “유망한 벤처 아이디어를 가진 사업부나 팀, 혹은 개인이 독립법인을 설립하여 분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세히 설명해 보자면 모기업의 조직문화, 핵심역량 등을 공유하면서 기존 사업과 경영•기술•사업관계에서 시너지를 이루는 사업 확장 전략을 추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스핀아웃을 통해서 모기업은 자신의 핵심역량을 내부에 보유하는 동시에 작고 유연한 조직구조를 가질 수 있습니다. 특히 스핀아웃을 통해 신규 회사를 설립함으로써 종업원들은 자신의 기업가정신을 실현시킬 수도 있습니다. 열심히 사내벤처를 해도 회사 내에서는 수익과 승진만으로 그치는 상황을 생각해보십시오. 스핀아웃이 없는 사내벤처는 당연히 구성원들의 동기부여에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겠지요. 그러므로 스핀아웃은 종업원들의 동기 부여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차지합니다. 그렇다면 다음은 스핀오프와 스핀아웃을 부문, 목적, 본사와의 관계, 성공에 대한 공유 측면에서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스핀오프(spin-off)는 실패하거나 중요하지 않은 부분을 떼어내는 개념인데요. 대기업의 구조조정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스핀오프는 실패 부문, 스핀아웃은 핵심역량과 관련이 적은 부문과 각각 관련되어있다고 볼 수 있는데요. 스핀오프의 목적이 비효율 부문을 제거하는 것이라면 스핀아웃은 본사의 핵심 역량 강화, 기업가 정신 고취 등의 목적과 관련이 있습니다. 스핀오프는 본사와의 관계가 단절되어 있지만 스핀아웃은 본사가 대주주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성공의 결과에 대해서도 차이를 보이는데요. 스핀오프 기업은 결과를 당연히 기업이 소유할 것이고, 스핀아웃 기업은 결과를 본사와 스핀아웃 기업이 공유합니다. 다음은 제록스 팔로알토 연구소의 스핀아웃 사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록스의 팔로알토 연구소인 PARC는 연구 과정에서 다수의 연계기술을 개발한 바 있습니다. 비록 조직 내부에서는 주목받지 못하거나 연구지원이 중단되기도 하였지만, 창업이나 주요 기술의 라이선스화를 통해서 사회에 막대한 혁신가치를 창출하게 되었죠. 특히 그래픽 기능을 활용한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인 GUI나 네트워킹 프로토콜인 이더넷 네트워킹 프로토콜, 인터넷 검색 기술 등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PARC에서는 프린터 사업과 연계성이 낮은 기술들이 개발되었을 때, 그 활용방안에 대해서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중에, 연구원들 중 일부가 관련 기술을 가지고 창업할 수 있기를 원하였고, 제록스는 이를 허락해주는 대가로 비독점적인 기술 특허와 적정한 지분을 받게 되었습니다. 그리하여 1979년부터 1998년 사이에 제록스의 기술을 상품화한 PARC 자회사 24개 중의 열 곳은 주식 상장에 성공하였고, 3 Com, 어도비, Documentum이 대표적인 기업이라고 볼 수가 있습니다. 다음은 구글의 스핀아웃 사례입니다. 전 세계적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Pokemon Go'는 2010년 Google 개발 인력들이 설립한 사내 벤처 'Niantic'에 의해 개발되었는데요. 'Niantic'은 2012년 Google Map의 기반 증강현실 게임인 'Ingress'를 개발해 각광을 받았으며, 2015년 8월 Google의 지주사 전환과 함께 분사, 즉 spinout 하게 되었습니다. 그리하여 2015년 9월에는 'Pokemon Go'의 개발과 관련하여 Google, Nintendo, PokemonCompany가 3천만 달러를 공동으로 투자하게 됩니다.

사내벤처 활성화 방안

그렇다면, 사내벤처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는 무엇이 있을까요? 우선 조직 내부의 혁신을 끊임없이 자극하는 사내기업가의 양성이 중요할 것입니다. 혁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가장 큰 요인으로 최고경영진이 뽑은 것은 조직 내에 인재의 부재입니다. 또한, 혁신전문가는 새로운 아이디어와 자유로운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조직문화 부재를 혁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가장 큰 요인으로 지적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실패는 혁신을 위해 필요한 정상적인 과정으로 인식되는 조직문화에 정착이 필요합니다. 또한 사내기업가들이 새로운 혁신에 몰두할 수 있는 시간 및 내부 자원을 제공하여, 이들의 아이디어가 사내벤처로 발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다음으로는, 모기업의 시장과 스핀아웃 기업에 혁신을 결합하는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내 벤처를 통해 와해적 혁신에 성공했다면, 다음 단계는 사내 사업부 및 사외 스핀아웃(Spin-Out)으로 진행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많은 기업들이 사내 사업부는 수용하나 사외 스핀아웃은 회피하려는 경향이 있는데요. 스핀아웃이 모기업에 손해라는 선입견은 버려야 사내 벤처가 융성할 수 있을 것입니다. 사내 벤처들은 대체적으로 모기업의 시장 효율이 사내 벤처의 기술혁신과 결합될 때 성공 확률이 높아질 수 있는데요. 스핀아웃을 전제로, 아이디어 단계의 신사업 팀을 사내 벤처로 영입 및 육성하는 제도도 인재 유치의 좋은 대안임이 사례를 통해서 입증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국가적 차원의 적극적인 사내벤처 육성 정책이 필요합니다. 사내벤처는 대기업과 중견기업의 와해적 혁신을 유도하고, 스핀오프 혹은 스핀아웃(spin-out)을 통해서 국가혁신 생태계를 기름지게 가꾸어야 할 것입니다. 이러한 관점에는 국가는 국가 차원의 정책을 제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중 사내벤처에 대한 세제 혜택은 기업들에게 강력한 동기부여가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유럽과 중국 등에서는 특히 특허 기반의 사업화 촉진으로 기업의 성장발전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별도의 세율을 적용하는 특허-박스(Patent-Box) 제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영국의 경우에는 특허 사업에 대해서는 통상적인 23% 법인세 대신 10%의 세율을 부과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하여 사내벤처가 기업 및 국가의 혁신을 주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로써 준비했던 내용을 모두 알아보았는데요. 이번 시간을 통해 우리가 사내기업가 정신이란 어떻게 진화되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가장 큰 골자였습니다. 이를 위하여 사내기업가 정신 모델의 기원 및 사례를 살펴보았습니다. 또한 사내벤처 플랫폼의 구축 과정을 알아보고 동시에 성공요인 및 적용 사례를 학습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