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경제와 사회적 비즈니스의 이해
우리가 사는 세계 방방곡곡에서는 경제 발전의 필수요소인 기업가와 기업가정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만큼, 이러한 발전의 격차와 소외 속에서 사회적 기업가 그리고 사회적 기업가정신이라는 개념이 그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사회적 기업가 정신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먼저 사회적 경제란 무엇인지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사회적 경제란
자본상의 이익을 위해 활동하는 기업, 바로 영리 기업이죠. 영리 기업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이윤 창출입니다. 영리 기업은 활발한 활동을 통해 시장경제 발전에 이바지하였지만, 빈부격차, 환경 파괴 등의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일으켰습니다. 이와 같은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며 균형 있는 발전을 꾀하고자 사회적 기업이 등장하게 됩니다. 먼저 사회적 기업에 대해 살펴보기 전에 사회적 기업의 활동무대인 사회적 경제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사회적 경제란 무엇일까요? 사회적 경제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2013년 서울에서 열린 국제사회적 경제포럼(Global Social Economy Forum)에서는 사회적 경제를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주체들의 생산과 소비가 이루어지는 경제시스템이라고 정의하였습니다. 유럽 사회적 기업 연구 네트워크(EMES)의 전 대표이자 사회적 기업 분야의 석학인 쟈끄 드푸르니(Jacques Defourny) 교수는 이윤창출보다는 구성원이나 공공에 대한 공헌을 목적으로 하는 경제활동이라고 정의하였습니다. 경제선진국 기구인 OECD에서는 국가와 시장 사이에 존재하며 사회적 요소와 경제적 요소를 가진 조직들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즉, 사회적 경제란 기업의 이윤 창출보다는 사회적 가치, 공공에 대한 기여 등을 더욱 중요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경제적 이윤 창출보다 사회적 가치와 공공의 기여 등을 중요시하는 사회적 경제는 시장경제 그리고 공공경제와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일까요? 시장경제는 이익 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일반적인 영리 기업들이 주체가 되는 경제활동영역이죠. 반면 공공경제는 정부로 대표되는 공공 부문이 주체가 되는 경제활동영역입니다. 시장경제의 기본 원리가 경쟁을 통한 효율성 추구인 반면 공공경제의 기본 원리는 재분배를 통한 평등입니다. 이윤 창출이 최고 가치인 시장경제가 발전하면서 나타나는 불평등, 빈부격차, 환경파괴 등의 다양한 사회문제와 공공경제가 가지는 공공재의 성격에 의해 나타나는 문제의 대안으로 출현한 제3의 경제활동영역이 바로 사회적 경제인데요. 즉, 시장도 정부도 아닌 제3의 경제활동영역에서 자발적인 개인의 참여에 의해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것이 바로 사회적 경제인 것입니다. 현대 사회에서 경제는 시장경제, 공공경제, 그리고 사회적 경제 이렇게 세 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하겠습니다. 이어서 이런 사회적 경제의 등장과 역사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나라 사회적 경제 등장 배경
사회적 경제는 1800년대 후반 프랑스에서 자본주의 시장경제에 대한 비판을 시작으로 등장하게 됩니다. 열악한 생활 여건의 노동자들이 처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자발적인 움직임이 사회적 경제라는 개념을 나타나기 시작한 거죠. 사회적 경제가 우리나라에 등장하게 된 것은 언제일까요? 또한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990년대 초, 도시의 빈곤층과 노동자들이 경제적 자활을 이루기 위한 소규모 노동자 협동조합이 출현하였습니다. 1996년에는 정부 주도의 자활지원센터가 설립되었습니다. 1997년. 무슨 일이 있었죠? I.M.F 외환위기가 있었죠. 외환위기는 우리 사회에 심각한 실업문제를 발생시켰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정부에서는 공공근로사업, 사회적 일자리 창출 사업을 추진하였습니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우리나라 정부는 사회적 경제 공동체 지원정책을 추진하였으며, 그 결실로 2007년에 사회적기업법이 제정되었습니다. 2010년에는 마을기업 육성 사업이 정부 주도로 시작되었고, 2011년에는 협동조합 기본법이 제정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경제발전을 이룩하는 과정과 외환위기를 맞이하면서 시장경제와 공공경제가 갖는 한계를 직접 경험하였습니다. 그리고 이런 한계의 인식으로 사회적 경제에 대한 법이 제정되었으며 사회적 경제활동은 정부 주도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사회적 경제는 시장경제와 공공경제와 더불어 우리 사회를 지탱해주는 하나의 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어서 이러한 사회적 경제를 실현하고자 하는 사업 영역인 사회적 비즈니스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회적 비즈니스
사회적 비즈니스. 소셜과 비즈니스의 합성어로 그대로 풀어서 말하면 이해하기가 쉬울 것입니다. 사회를 무대로 이행하는 비즈니스라고 할 수 있죠. 다시 말해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자원봉사, 기부 등과 같은 사회공헌의 형태가 아닌 비즈니스의 형태로 실시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림을 보면서 사회적 비즈니스의 기본 속성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사는 사회에서 추구하는 여러 가치들 가운데 더불어 사는 사회를 발전시키는 주요 가치들로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들 수 있습니다. 이 두 가지 가치 중 어떤 가치를 우선시 하느냐에 따라 영역을 나눌 수 있는데요. 영리 기업은 경제적 가치를 우선적으로 추구하고, 사회적 가치에 대한 관심이 미미합니다. 반대로 공공영역과 비영리단체들은 사회적 가치 추구를 우선적으로 하고, 경제적 가치에 대한 관심은 거의 없습니다. 사회적 기업은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며 우리 사회에서 가치를 실현하는 조직 즉 사회적 비즈니스라 할 수 있겠습니다. 사회적 비즈니스는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함을 알 수 있는데요. 그러므로 사회적 비즈니스는 자원봉사가 아닙니다. 보조금이나 후원금이 없으면 경영을 지속하지 못하는 비즈니스 역시 아닙니다. 사회적 비즈니스는 일반 비즈니스처럼 이윤을 창출해 냅니다. 그러나 사회적 비즈니스에서의 이윤은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자원에 불과합니다. 특정 사회문제를 해결한 이후에도 남은 이윤이 있다면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재투자를 하게 됩니다. 재투자는 사회 전체에 엄청난 차이를 가져다줄 수 있습니다. 또한 사회적 비즈니스는 영리 기업처럼 계속 영업 활동을 전제로 하는 것이 아닙니다. 사회적 비즈니스는 사회문제 해결이 목적이기 때문에 문제 해결은 비즈니스의 종료를 의미합니다. 사회적 비즈니스는 단발성의 사회 공헌이 아니기 때문에 사회문제의 효과적인 해결을 위해 지속적인 비즈니스가 필요합니다. 문제를 겪고 있는 더 많은 사회 구성원들을 도와주며 보다 빠르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비즈니스의 규모 확장과 성장이 필요합니다. 사회적 비즈니스는 독특한 비즈니스 세계를 가지고 우리 사회에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고 변화를 주도하는 비즈니스라 하겠습니다. 사회적 기업가정신에 대해 알아보는 첫 번째 시간에서는 사회적 경제의 개념과 등장 배경 그리고 사회적 비즈니스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사회적 가치, 공공에 대한 기여를 중요시하는 사회적 경제에서는 사회문제의 해결을 위해 사회적 비즈니스의 확장과 성장이 필요했습니다.
'기업, 사회적 기업, 혁신 사례, 혁신 기업 전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적 기업가 정신의 사례 (0) | 2022.07.30 |
---|---|
소셜벤처의 미래기술과 적정기술 (0) | 2022.07.29 |
사회적 기업의 가치 실현 (0) | 2022.07.29 |
기업가 정신의 유형과 사내 기업가의 특성 (0) | 2022.07.28 |
기업가 정신과 사회적 기업가정신 (0) | 2022.07.28 |